Coherent란?

파동이 균일하고, 위상이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주파수가 매우 안정적이고, 변동이 없는 광원을 Coherent 광이라고 한다.

 

광섬유 분야의 기술로, 단순히 광 신호의 세기 변조 및 직접 검출로 신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다. Coherent 검출 방식은 광 신호가 멀리 전송될 때 신호의 세기가 약해져도, 광 신호의 위상 또는 주파수 변조에 의해 신호를 판별, 수신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광 전송 기술은 빛의 세기만으로 신호를 판별하였고, 2.5Gpbs, 10Gbps, 40Gbps, 100Gbps로 전송이 확장되면서 분산과 감쇠, 즉 신호 전송의 문제가 커지게되어 한계에 부딪혔고, Coherent 광 기술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Coherent는 앞서 말한 위상을 통해 수신단에서 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장거리, 고용량 정보 전송에 적합한 첨단 복합 광전송 시스템이다.

광통신의 성능 잠재력을 더욱 활용하고, 대역폭을 늘리며, 에러 정정 기능으로 신뢰성 향상, 배포 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이다.

 

 

Choerent 기술은 백본망, 데이터 센터, 광 해저 케이블 그리고 5G/6G 통신망에 주로 활용된다. 

기존 백본 네트워크 WDM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5G 미드 백홀 시나리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센터 상호 연결 (DCI)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춰 장거리 Coherent 광 모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인 이점과는 별개로 복잡한 공정, 대용량, 높은 전력 소모 등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남아있다.  

 

 

Coherent 장점

   1. 기존 전송 기술 방식 대비 10~100배 향상

   2. 100Gbps, 400Gbps, 1Tbps 이상 전송 가능

   3. 향상된 에러 정정 기능으로 신뢰성 향상

   4. 광 증폭기를 사용할 경우, 간섭 제거 가능 

   5. 주파수 대역 활용도가 크기 때문에, 수신간도와 주파수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임

   

 

Coherent 동작 원리

   1. 입력 신호를 ASK, FSK, PSK를 통해 좁은 선폭을 갖는 반송파에 변조 시킨다.

   2. 수신단에서 광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헤테로다인 방식으로(Optical FDM)), 광 IF(중간 주파수를) 만들어낸다. 

        **헤토로다인 중계기:

          무선 회선 중계 방식으로, 수신된 마이크로파를 중간 주파수파로 변환, 중간 주파수 증폭기로 필요한 만큼 증폭 한 뒤, 마이크로파로 다시 변환하여 송신하는 중계 방식

   3. 해당 주파수 필터를 통해 분리한다.

 


Coherent 주요 기술

 

편광 보존 기술

Coherent 검출시  신호 광과 국부 발진기 광의 편광이 동일해야 한다.(간섭 수신이 제공할 수 있는 높은 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둘의 전기적 벡터 방향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감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파 편광 안정화를 위한 주파수 안전화 기술, 스펙트럼 압축 기술이 있다. 

 

 1. 주파수 안정화 기술
    -반도체 레이저의 주파수 안정성은 코히어런트 광통신에서 매우 중요함.

    -온도와 전류 변화에 민감해, 레이저 주파수가 다른 작동 조건으로 드리프트하면 IF 전류에 영향을 미쳐 BER이 증가함.
 2. 스펙트럼 압축 기술
    -광원의 스펙트럼 폭(좁은 선폭)은 Coherent 광통신에서 중요함.
    -반도체 레이저의 양자 진폭 변조 및 주파수 변조 노이즈가 수신기의 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극복할 수 있음.
    -위상 드리프트로 인한 위상 노이즈가 작아짐.
    -일관된 광통신 요구사항을 충족(장거리 전송이 훨씬 쉬워짐)시키기 위해서는 스펙트럼 폭 압축 기술이 채택됨.

 

 


데이터 변조

위상차는 sin파와 cos파의 직교성을 통해 두 신호를 조합했을 때 어떠한 신호도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IQ Modulation이라고 한다.
즉 I와 Q신호를 별도로 조절했을 때, 모든 반송파 신호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IQ변조를 통해 진폭과 위상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HW 설계시 RF 반송파의 위상을 직접 조작하여 원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활용 된다.

IQ는 IQ-plot을 통해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Modulation?

변조란 보내고자 하는 정보 신호를 가지고 Carrier(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정보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높은 곳으로 옮기는 조작이다.

 

 

Modulation 종류

 1.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신호를 가지고,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
 2.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신호를 가지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
 3. PSK(Phase Shift Keying):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
 4. QPSK(Quadrature Pahse Shift Keying) 직교 위상천이 변조: 위상변화를 ㅠ/2만큼 줘서, 4개의 디지털 심벌로 전송하는 방식
 5. QAM(Quadrature Apmlitude Modultaion):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같이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제한된 전송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효율의 향상을 위해)으로 2개의 채널(I-채널, Q-채널)이 독립되도록 한 것으로, IQ변조와 같음.
 즉, 진폭을 바꾸는 ASK와, 위상을 바꾸는 PSK를 결합한 방식

 

 

**Coherent(가간섭성)

단일 주파수 스펙트럼이며, 위상이 일치되고 균일한 정현파의 광파로, 완전 Coherent한 광은 단일 파장, 단색광(Monochromatic Light)임
**Incoherent(비간섭성)

다양항 주파수 및 진폭을 가지며, 위상이 일치하지 않는 광파로 태양, 전구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광

 

 

 

 

 

 

 

 

 

(참고)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907

https://rf-yeolmu.tistory.com/14

https://ensxoddl.tistory.com/353

https://blog.naver.com/wlsqor2/40117111555

 

WDM 기술 등장 배경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과 데이터 통신 용량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한계에 마주했다.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단일 파장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용량이 제한적이었고다.

또한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광섬유를 사용해야했다. 비용적인 측면의 어려움이 따랐던 것.

 

이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고, WDM 기술이 등장했다. 

WDM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하나의 광섬유에 동시에 전송하여, 통신 용량을 크게 증가 시켰다. 기존의 광섬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비용적인 효율성까지 가져갈 수 있었다. 

 

 


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광 신호 전송 시, 전기적 신호(1과 0)을 Header를 포함한 Frame화하여 ONU로 송신하게 된다.(Header 안에는 신호를 보호하면서 E2E 전송을 위한 보안, health check 등의 값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전송 방식은 한 개의 광섬유에 한 개의 파장만을 실어서 보냈으나, WDM 전송 방식은 여러 개의 파장을 가진 광신호를 하나로 묶어서 광섬유로 실어 보내는 방식이다. WDM의 기술 발전에 따라 분할되는 파장 간 사이 밀도가 좁아져 용량과 채널을 늘려갔다.

 

 

 WDM 장점 

   1. 전송 가능한 트래픽 양의 증가

   2. 기존 광섬유 자원을 활용

   3. 단일 광섬유에 여러 개의 파장을 실어 보내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관리 비용 절감 

   4. 새로운 파장을 추가하여 용량 확장 용이(확장성)

   5. 속도와 품질의 향상

 

정리하자면,

WDM 기술은 통신 용량 증가에 대한 요구와 광선유의 대역폭 활용 필요성에 따라 등장했고,

기존 광섬유 자원을 활용하면서, 전송 용량과 속도를 증가시키고, 비용 절감 및 확장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WDM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광 전송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WDM 기술 

 

WDM 기술은 등장한 이후, 지속 발전해왔다.

초기 단일 파장에 여러 개의 비트를 전송하는 Coarse WDM(CWDM)기술이 사용되었고,

그 이후, 더 많은 파장을 사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ense WDM(DWDM)기술.

사용자 정의 가능한 채널 간격을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광 스펙트럼을 활용할 수 있는 Flexible Grid WDM(FGWDM) 기술이 등장하였다. 

(각 WDM 기술 별로 파장이 나뉘어진 것이 아니라, 동일 파장대를 확장하여 사용함을 유념)

https://www.fibermall.com/ko/blog/wdm-vs-otn.htm

 

위 그림은 쉽게 잘 표현되어있어서 fibermall에서 발췌해 온 그림이다.

WDM 시스템을 고속도로에 비유하여, 각 역할을 나타낸다. 

 -고속도로: 광섬유

 -순찰차: 신호 모니터링

 -주유소: 광 증폭

 -회색 자동차: 클라이언트 측 다양한 서비스

 -컬러 자동차: 채널(파장)의 다양한 베어러 서비스 

 -레인: 광파장

 

 

 

1. CWDM(Coarse WDM) 

실어보낼 수 있는 채널이 10개 미만이며, Dense가 떨어지나 비용이 저렴하여, 비용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 

DWDM과 유사하나, 파장 간격이 넓고(10nm 이상 20~40nm) 광 증폭기를 사용하지 않는 단거리(50km 이내) 전송에 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S,C,L-Band를 활용하며, 채널 파장 8개 기준 1470nm~ 1610nm 파장대를 사용한다. 파장 수를 늘리기 위해 1310nm를 이용하여 CWDM을 16개 채널로 확장할 수 있어 표준 WDM보다는 많은 채널 수를 가지지만, DWDM보다는 적은 채널수를 갖게 된다. 

 

CWDM 파장 스펙트럼 내에서 DWDM 채널을 매핑하면, 사이트 간 광섬유 인프라를 변경할 필요없어, 동일한 광섬유 케이블에서 훨씬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용량을 얻을 수 있다. 

CWDM vs DWDM

 

 

 

2. DWDM(Dense WDM)

하나의 광섬유에 여러 개의 파장(빛)을 동시에 전송 가능하다. 최대 80개의 파장을 동시에 10Gbps 속도로 전송하며, 40~80개의 채널을 이용해 각 400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신호의 속도를 유지한 채 전송할 수 있는 파장 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광섬유당 총 전송 용량을 크게 증가 시킨 기술이다. WDM 채널보다 밀도가 높으며, 주로 C Band(1530nm ~ 1565 nm)대역에 걸쳐있다.(L-Band도 사용)

구성 요소로, 광학 송/수신기, DWDM Mux/Demux필터, 광학 Drop/Add 멀티플렉서(OADM), 광학 증폭기가 있다.

 

DWDM의 좁은 파장 간격은 단일 광섬유에 더 많은 채널을 적합하게 하지만, 구현 및 운용 비용이 더 많이 드는 특징이 있다. 

 

 DWDM 파장 간격 

  파장 간격 지원 채널 수
50GHz 0.4 nm 80개 이상
100GHz 0.8 nm 40개 이상
200GHz 1.6 nm 20개 이상

 

이외에도 25GHz, 37.5GHz 등의 간격이 사용되나, 상용 시스템에서는 상기 표에 명시된 간격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DWDM에서 파장 간격을 선택할 때는 "전송 용량, 광섬유 비용, 광 증폭기, 채널 간섭"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요구사항과 예산에 맞는 파장 간격을 설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Flexible Grid WDM(FGWDM) 기술이 등장하면서, 채널 간격을 사용자 정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정 채널에 더 많은 용량을 할당하거나, 채널 간격을 최적화하여 스펙트럼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FGWDM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

 

https://kkomtech.tistory.com/15

 

Fixed Grid vs Flexible Grid

Fixed Grid 사전적 의미 그대로, 고정된 주파수와 파장 대역을 사용한다.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역폭을 조정할 수 없다. 신호 속도가 빨라지면서 광 신호 대역이 확장되었

kkomtech.tistory.com

 

 

 

 

 

 

 

 

 

 

 

 

(참고)

https://www.fibermall.com/ko/blog/things-about-cwdm-dwdm-oadm.htm

https://ko.opticalpatchcable.com/news/important-components-in-dwdm-system-33718546.html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1847

https://www.fibermall.com/ko/blog/wdm-vs-otn.ht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통신 기초] Coherent란?  (2) 2024.02.27
Fixed Grid vs Flexible Grid  (1) 2024.02.26
광 트랜시버 vs 트랜스폰더  (0) 2024.02.23
[광통신 기초] CD(색 분산)과 PMD(편광모드분산)  (0) 2024.01.08

Fixed Grid

사전적 의미 그대로, 고정된 주파수와 파장 대역을 사용한다.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역폭을 조정할 수 없다.

신호 속도가 빨라지면서 광 신호 대역이 확장되었고, 여러 속도의 신호가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경우,

속도에 따른 최대 스펙트럼 대역폭이 고정 주파수 간격을 지켜야하기 때문에 손실과 낭비가 더욱 크게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Flexible Grid의 필요성이 나타나다.

 

https://forum.huawei.com/

 

 

 


Flexible Grid 

기존의 고정된 채널 간격 대신, 사용자 정의 채널 간격을 사용하여, 광 스펙트럼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즉, Fixed Grid에서 제한적이었던,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요구사항에 맞춰 채널 간격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기에 대역폭 낭비가 없다는 큰 장점이 있다.

 

 

https://forum.huawei.com/
https://forum.huawei.com/enterprise/en/fixed-grid-vs-flexible-grid/

 

 

5G, 6G로 확장되면서, 테라급 고품질 대용량 장거리 신호 전달 기술이 요구되었다. 전달망에서 망의 유연성과 저전력 및 에너지 효율성, 저비용 경제성 확보가 요구된 것.

즉,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라, 전송 속도는 400Gbps~최대 1Tbps로 증가하여 광 신호 스펙트럼이 넓어졌고, 에따라 유연한 스펙트럼 할당을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Flexible Grid 기술이 활용된 것이다.

 

 

 

Flexible Grid ROADM 기술?

광신호의 분기(Drop) 및 결합(Add)뿐만 아니라, 파장 단위 스위칭(O-O-O)기반으로 회선을 재배치(Wavelength Reuse)가 가능한 기술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라, 전송 속도는 400Gbps~최대 1Tbps로 증가하여 광 신호 스펙트럼이 넓어졌다.

Flexible Grid 기술은 37.5GHz ~400GHz 파장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Flexible Grid 장점

 1. 스펙트럼 효율성 향상: 고정된 채널 간격이 아닌, 필요에 따른 채널 간격을 최적화하여 광 스펙트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

 2. 전송 용량 증가: 더 많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품질,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음.

 3. 서비스 유연성 확보: 각기 다른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요구사항에 맞춰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음.

 4. 경제성: 기존 광통신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음.

 

 

Flexible Grid의 기술 구현은 WDM과 SDN 기술 등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WDM기술에 대한 내용은 아래글을 확인하길 바란다.

 

 

https://kkomtech.tistory.com/16

 

[광통신 기초]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WDM 기술 등장 배경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과 데이터 통신 용량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한계에 마주했다.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단일 파

kkomtech.tistory.com

 

 

 

 

 

 

 

 

 

 

 

 

 

(참고)

https://forum.huawei.com/enterprise/en/fixed-grid-vs-flexible-grid/thread/667235996061810689-667213856692383744

https://www.slideshare.net/EuncheolPark1/201610flexible-grid-roadm-pdf

https://forum.huawei.com/enterprise/en/fixed-grid-vs-flexible-grid/thread/667235996061810689-667213856692383744

 

광 트랜시버

광전송 시스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등 광통신 장치에서,

광전 신호 변환(광전 및 전기 광학 변환)을 수행하는 모듈로, 네트워크 상호 접속장치 이다. 

즉, 전기신호를 빛으로 바꾸어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게 되고, 수신측에서는 빛을 다시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광전변환 역할을 한다.

 

 

송신단                         수신단

전기 -> 빛  ------------ 빛 -> 전기

 

 

송신기와 수신기가 하나의 모듈에 통합되어 있으며,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비(서버/스위치/라우터/광섬유 모뎀 등에 장착)에서 사용된다. 
광전 신호 변환 이외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여러 개의 전기 신호를 하나의 광 신호로 다중화하거나, 하나의 광 신호를 여러 개의 전기 신호로 역다중화한다. 

 

광 트랜시버 선택 시 요구사항에 맞는 트랜시버를 선택해야 한다.

전송 속도, 전송 거리 및 파장을 지원하고, 시스템 형식에 맞는 광 트랜시버 모듈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광 트랜시버 종류

광 트랜시버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100GbE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QSFP28 광 모듈인 SR4, LR4, ER4에 대해 알아보자. 

 

 1. SR4(Short Reach, 4 Lanes)

     -연결 거리: 최대 100m(멀티모드 광섬유)

     -파장: 850nm

     -송수신 방식: 4채널 병렬

     -장점: 저렴한 가격, 단거리 연결에 적합

     -단점: 장거리 불가

 

 2. LR4(Long Reach, 4 Lanes)

     -연결 거리: 최대 10km

     -파장: 1310nm

     -송수신 방식: 4채널 병렬

     -장점: SR4보다 더 긴 전송 거리, 높은 성능 

     -단점: SR4보다 가격이 비쌈

 

 3. ER4(Extended Reach, 4 Lanes)

     -연결 거리: 최대 40km(단일모드 광섬유)

     -파장: 1310nm

     -송수신 방식: 4채널 병렬

     -장점: SR4보다는 장거리 연결(10km 이상 가능), 저렴한 가격

     -단점: LR4보다 성능이 낮음

 

 

[요약]

구분 SR4 LR4 ER4
연결거리 최대 100m(멀티모드) 최대 10km(단일모드) 최대 40km(단일모드)
파장 850nm 1310nm 1310nm
송수신 방식 4채널 병렬
장점 저렴한 가격 높은 성능 저렴한 가격,
LR4보다 긴 전송 거리
단점 단거리 연결만 가능 SR4보다 비싼 가격 LR4보다 낮은 성능

 

데이터 센터 내 단거리 연결에는 SR4, 10km 이내의 고성능 장거리 연결에는 LR4를, 10km이상 장거리 연결에는 ER4를 선택하는 가이드를 줄 수 있다. 

파장대역, 가격, 전송 속도 및 연결 거리 등 요구사항에 맞는 모듈을 선택하여야 한다. 

 

 

 

 

광 트랜시버 활용

광 트랜시버는 아래와 같이 활용된다.

 -장거리, 데이터센터, 메트로망 등에 사용됨.

 -PON(Passive Optical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그렇다면, 광 트랜스폰더는 무엇일까? 트랜시버와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자.

 

 

 


 

광 트랜스폰더(Transponder)

광섬유와 전기신호와의 쌍방향 변환을 실시하는 기능부를 트랜스폰더라고 칭한다. 
예를들어,  O-E-O 광 전광 변환을 해주는 Unit으로, O(1310nm)-E-O(1550nm)일 때, 1310nm의 파장을 1550nm파장으로 바로 변환하기 어려우므로, 파장 변환을 해주는 트랜스폰더를 사용하는 것이다.
  -Transponder는 Tx와 Rx 트랜스폰더가 있으며, 두 유닛 모두 같은 유닛에 사용되며 전송 방향만 다르다.


 트랜스폰더는 위에서 설명된 트랜시버의 광전 변환 기능에 더하여, 파장변환 기능을 추가로 가진다. 

트랜시버는 정해진 파장으로 전달하게 되지만 트랜스폰더는 파장 변환이 가능하다. 

 

 

  **파장 변환 기능 작동 

   1. 송신단: 트랜스폰더는 송신하려는 데이터를 각 채널에 할당된 파장에 맞춰 변환

   2. 전송: 변환된 광 신호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 됨

   3. 수신단: 트랜스폰더는 수신된 광 신호를 각 채널의 파장에 따라 분리하고, 원래 데이터로 변환함

 

즉, WDM 기술에서 광 신호의 파장 변환 및 증폭을 통해,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용량을 확장하는 등 관리에 용이하다. 

 

 

[요약]
 -트랜스폰더는 수신된 광신호를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고 송신할 수 있음 
 -WDM 시스템에서 다중 채널의 데이터를 동일한 광섬유 케이블로 전송 가능함
 -구성은 트랜시버 + 파장 변환 장치(Mux/DeMux)로 구성되어 있음 
 -WDM System에서 광신호의 파장 변환 및 증폭을 통해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함
 -광섬유 NW 용량 확장 가능 및 관리에 용이함 

 

   **파장 변환 장치

     1. 트랜스폰더: WDM 시스템에서 광 신호의 파장 변환 및 증폭 담당

     2. Mux/Demux: 여러 채널의 광 신호를 결합/분리하는 장치 

     3. 광 라우터: 광섬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장치

 

 

 

 

 

 

 

 

 

 

(참고)

https://ettrends.etri.re.kr/ettrends/115/0905001427/24-1_012_023.pdf

 https://ko.fiberwdm.com/blog/optical-modules-vs-transponders-what-s-the-difference_b67

 

 

광통신에서 분산이란?

 

 

분산(Dispersion)

광섬유 내 진행하는 빛 또는 광 펄스의 퍼짐(분산) 현상으로, 광섬유 내부에 빛이 전송되는 코어와, 빛을 굴절시키는 클래드로 구성.

코어의 직경에따라 굴절 정도가 달라지게되며, 코어의 직경과 굴절률에 따라 빛이 전파되는 방식이 달라짐


 

1) 모드 간 분산(Intermodal Dispersion) -다중모드 광섬유 (Multi Mode Fiber)

입력 펄스가 다중 모드로, 다수가 전송되면서 다른 시차로 모이는과정에서 펄스가 분산되는 것

-코어의 직경이 크고, SMF에 비해 전송 손실이 높음 특징

 

 

2) 모드 내 분산(Intramodal Dispersion)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

Fiber Dispersion이라고 불리며, 입력 펄스 내 여러 성분(스펙트럼, 편광)들이 각기 다른 속도를 가지면서 펄스 퍼짐 현상으로, 색 분산과 편광모드 분산이 있다.

-광섬유 코어 안 빛의 모드가 1개인 단일 모드로, 코어의 직경이 매우 작은 특징

-표준 SMF, DSF(분산 천이형 광섬유), NZ-DSF(비 영분산 광섬유) 등

 

 1. 색 분산(Chromatic Dispersion) 

 각 파장 성분(다른 빛)들의 전파 속도가 서로 달라 나타나는 광 분산 현상으로, 10Gbps까지의 단일모드광섬유(SMF)에서 가장 큰 문제

색 분산이 0이 되게 하는 파장(=영분산 파장)을 이용하여 고속 통신 가능: 전송 대역 파장 영역에서 분산이 0이 되도록 천이시키는 것

 >>영 분산점(Zero Dispersion Point): 단일모드 광섬유를 통한 광 전파 시, 단/장파장 성분이 같은 속도를 보이는 파장 점(1300nm 부근)으로, SMF에서 색분산 영향을 줄이는데 활용됨

 

 

 2. 편광모드 분산(Polarization Mode Dispersion)

광 신호가 광섬유를 따라 전송되는 과정에서, 광이 직각을 이루면서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편광모드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분산 현상

시간, 파장, 온도, 진동, 압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제어하기 까다로움 

-편광제어기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편광에 서로 다른 지연을 적용하여 속도 차이를 줄이는 방법 등으로 보정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2045

 

 

 

자원(대역폭)이 제한적일 때, QoS에 따른 대역폭 제한이 수행된다. 

 

 

Traffic Shaping

-버퍼를 이용하여 대역폭을 제한하는 QoS 방식

-보장된 대역폭을 넘어선 트래픽이 유입되었을 때, 트래픽을 홀딩하여 잠시 멈춘 후 가용 대역폭이 확보되면 이후에 서비스 수행

-구성요소: CBS(정해진 자원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CI(허용 정보율), EBS(초과 버스트 크기)

 

Traffic Policing

-제한된 대역폭을 초과하는 트래픽을 Drop 시키는 QoS 방식

-구성요소: Meter(Packet의 유입률 측정), Drop(대역폭을 초과하는 트래픽 제한), Mark(대역폭 내에서 포워딩 되는 Packet 마킹)

  

 


Traffic Shaping vs Traffic Policing

 

Buffering vs Drop

bps vs Bytes

Outbound vs Inbound(Outbound 가능)

Packet Loss률 감소 vs Packet Loss 가능  

Increase Throughput vs Pakcet Drop 시, TCP Window 사이즈 감소 유발 전체 출력 속도 감소

딜레이 발생 가능&메모리 필요 vs 딜레이 없음&메모리 불필요

 

가입자 프로파일 조회 및 UE 요청에 따른 IMS망 음성 세션 생성, 그리고 그에 따른 PCC Rule이 적용 절차에 대해 확인해보자.

(내용은 NETMANIAS LTE 문서에서 참고함)

 

 

자세한 이론 내용은 위 문서를 참고

UE가 올리는 Attach Request 내 정보를 바탕으로, MME가 HSS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받아

PGW-PCRF-SPR에게 요청한 APN에 대한 QoS 정보를 받아온다. 

 

 

PCRF는 SPR에서 받아온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PCC Rule을 결정하여 Gx 인터페이스를 통해 PGW로 내려주고,

PCEF 역할을 수행하는 PGW가 정책을 설정한다.

 

 

 

PGW -> SGW -> MME로 음성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게되고, 

MME는 UE에게  Default Bearer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하고, UE로부터 활성화 응답이 오면 SIP Signaling용 Default Bearer가 생성되어, 이를 통해 IMS 인증/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Network > L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ffic Shaping vs Policing  (0) 2023.12.14
HSS vs SPR 차이점(PCRF, QoS Profile 저장 주체)  (0) 2023.12.13

 

HSS와 SPR 모두 사용자 관련 정보를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HSS는 인증에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즉 UE SIM, Key, IMSI 등과 같은 사용자 Subscribe 정보를 가지고 있다.

MME에 연동되어 사용자-망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가입자 Subscribe Profile이 변경 될 경우, HSS는 바로 적용되지 않고 UE가 망에서 detach된 후, Attach되어야 변경사항이 적용된다.(PCRF/SPR은 Access Profile 변경 될 경우, Dynamic하게 적용 가능)

이와 같은 이유로, HSS는 가입자별  QoS를 저장하지 않고, Subscribe Profile을 저장하는 것. 

 

SPR은 사용자의 상품별 서로 다른 QoS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책(과금)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있으며, PCRF와 연동된다.

PCRF는 SPR에서 과금 관련 정책 정보를 얻어와 UE에 대한 과금을 책정한다고 보면 되고, 

HSS는 SPR에 QoS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PCC]

PCRF는 SPR의 Access Profile이 변경되면 그 정보를 기반으로, PCRF가 Dynamic하게 PGW에 전달하여, 

UE에 변경된 EPS Bearer를 적용시킬 수 있다.

-참고: PCC Rule은 Dynamic과 Pre-Defined PCC Rule로 나뉜다. 이후 포스팅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