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ed Grid
사전적 의미 그대로, 고정된 주파수와 파장 대역을 사용한다.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역폭을 조정할 수 없다.
신호 속도가 빨라지면서 광 신호 대역이 확장되었고, 여러 속도의 신호가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경우,
속도에 따른 최대 스펙트럼 대역폭이 고정 주파수 간격을 지켜야하기 때문에 손실과 낭비가 더욱 크게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Flexible Grid의 필요성이 나타나다.
Flexible Grid
기존의 고정된 채널 간격 대신, 사용자 정의 채널 간격을 사용하여, 광 스펙트럼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즉, Fixed Grid에서 제한적이었던,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요구사항에 맞춰 채널 간격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기에 대역폭 낭비가 없다는 큰 장점이 있다.
5G, 6G로 확장되면서, 테라급 고품질 대용량 장거리 신호 전달 기술이 요구되었다. 전달망에서 망의 유연성과 저전력 및 에너지 효율성, 저비용 경제성 확보가 요구된 것.
즉,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라, 전송 속도는 400Gbps~최대 1Tbps로 증가하여 광 신호 스펙트럼이 넓어졌고, 에따라 유연한 스펙트럼 할당을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Flexible Grid 기술이 활용된 것이다.
Flexible Grid ROADM 기술?
광신호의 분기(Drop) 및 결합(Add)뿐만 아니라, 파장 단위 스위칭(O-O-O)기반으로 회선을 재배치(Wavelength Reuse)가 가능한 기술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라, 전송 속도는 400Gbps~최대 1Tbps로 증가하여 광 신호 스펙트럼이 넓어졌다.
Flexible Grid 기술은 37.5GHz ~400GHz 파장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Flexible Grid 장점
1. 스펙트럼 효율성 향상: 고정된 채널 간격이 아닌, 필요에 따른 채널 간격을 최적화하여 광 스펙트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
2. 전송 용량 증가: 더 많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품질,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음.
3. 서비스 유연성 확보: 각기 다른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요구사항에 맞춰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음.
4. 경제성: 기존 광통신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음.
Flexible Grid의 기술 구현은 WDM과 SDN 기술 등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WDM기술에 대한 내용은 아래글을 확인하길 바란다.
https://kkomtech.tistory.com/16
[광통신 기초]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WDM 기술 등장 배경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과 데이터 통신 용량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한계에 마주했다. 기존 전송 시스템으로는 단일 파
kkomtech.tistory.com
(참고)
https://www.slideshare.net/EuncheolPark1/201610flexible-grid-roadm-pdf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통신 기초] Coherent란? (2) | 2024.02.27 |
---|---|
[광통신 기초]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1) | 2024.02.27 |
광 트랜시버 vs 트랜스폰더 (0) | 2024.02.23 |
[광통신 기초] CD(색 분산)과 PMD(편광모드분산)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