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herent란?
파동이 균일하고, 위상이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주파수가 매우 안정적이고, 변동이 없는 광원을 Coherent 광이라고 한다.
광섬유 분야의 기술로, 단순히 광 신호의 세기 변조 및 직접 검출로 신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다. Coherent 검출 방식은 광 신호가 멀리 전송될 때 신호의 세기가 약해져도, 광 신호의 위상 또는 주파수 변조에 의해 신호를 판별, 수신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광 전송 기술은 빛의 세기만으로 신호를 판별하였고, 2.5Gpbs, 10Gbps, 40Gbps, 100Gbps로 전송이 확장되면서 분산과 감쇠, 즉 신호 전송의 문제가 커지게되어 한계에 부딪혔고, Coherent 광 기술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Coherent는 앞서 말한 위상을 통해 수신단에서 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장거리, 고용량 정보 전송에 적합한 첨단 복합 광전송 시스템이다.
광통신의 성능 잠재력을 더욱 활용하고, 대역폭을 늘리며, 에러 정정 기능으로 신뢰성 향상, 배포 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이다.
Choerent 기술은 백본망, 데이터 센터, 광 해저 케이블 그리고 5G/6G 통신망에 주로 활용된다.
기존 백본 네트워크 WDM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5G 미드 백홀 시나리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센터 상호 연결 (DCI)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춰 장거리 Coherent 광 모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인 이점과는 별개로 복잡한 공정, 대용량, 높은 전력 소모 등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남아있다.
Coherent 장점
1. 기존 전송 기술 방식 대비 10~100배 향상
2. 100Gbps, 400Gbps, 1Tbps 이상 전송 가능
3. 향상된 에러 정정 기능으로 신뢰성 향상
4. 광 증폭기를 사용할 경우, 간섭 제거 가능
5. 주파수 대역 활용도가 크기 때문에, 수신간도와 주파수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임
Coherent 동작 원리
1. 입력 신호를 ASK, FSK, PSK를 통해 좁은 선폭을 갖는 반송파에 변조 시킨다.
2. 수신단에서 광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헤테로다인 방식으로(Optical FDM)), 광 IF(중간 주파수를) 만들어낸다.
**헤토로다인 중계기:
무선 회선 중계 방식으로, 수신된 마이크로파를 중간 주파수파로 변환, 중간 주파수 증폭기로 필요한 만큼 증폭 한 뒤, 마이크로파로 다시 변환하여 송신하는 중계 방식
3. 해당 주파수 필터를 통해 분리한다.
Coherent 주요 기술
편광 보존 기술
Coherent 검출시 신호 광과 국부 발진기 광의 편광이 동일해야 한다.(간섭 수신이 제공할 수 있는 높은 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둘의 전기적 벡터 방향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감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파 편광 안정화를 위한 주파수 안전화 기술, 스펙트럼 압축 기술이 있다.
1. 주파수 안정화 기술
-반도체 레이저의 주파수 안정성은 코히어런트 광통신에서 매우 중요함.
-온도와 전류 변화에 민감해, 레이저 주파수가 다른 작동 조건으로 드리프트하면 IF 전류에 영향을 미쳐 BER이 증가함.
2. 스펙트럼 압축 기술
-광원의 스펙트럼 폭(좁은 선폭)은 Coherent 광통신에서 중요함.
-반도체 레이저의 양자 진폭 변조 및 주파수 변조 노이즈가 수신기의 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극복할 수 있음.
-위상 드리프트로 인한 위상 노이즈가 작아짐.
-일관된 광통신 요구사항을 충족(장거리 전송이 훨씬 쉬워짐)시키기 위해서는 스펙트럼 폭 압축 기술이 채택됨.
데이터 변조
위상차는 sin파와 cos파의 직교성을 통해 두 신호를 조합했을 때 어떠한 신호도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IQ Modulation이라고 한다.
즉 I와 Q신호를 별도로 조절했을 때, 모든 반송파 신호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IQ변조를 통해 진폭과 위상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HW 설계시 RF 반송파의 위상을 직접 조작하여 원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활용 된다.
IQ는 IQ-plot을 통해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Modulation?
변조란 보내고자 하는 정보 신호를 가지고 Carrier(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정보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높은 곳으로 옮기는 조작이다.
Modulation 종류
1.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신호를 가지고,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
2.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신호를 가지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
3. PSK(Phase Shift Keying):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
4. QPSK(Quadrature Pahse Shift Keying) 직교 위상천이 변조: 위상변화를 ㅠ/2만큼 줘서, 4개의 디지털 심벌로 전송하는 방식
5. QAM(Quadrature Apmlitude Modultaion):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같이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제한된 전송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효율의 향상을 위해)으로 2개의 채널(I-채널, Q-채널)이 독립되도록 한 것으로, IQ변조와 같음.
즉, 진폭을 바꾸는 ASK와, 위상을 바꾸는 PSK를 결합한 방식
**Coherent(가간섭성)
단일 주파수 스펙트럼이며, 위상이 일치되고 균일한 정현파의 광파로, 완전 Coherent한 광은 단일 파장, 단색광(Monochromatic Light)임
**Incoherent(비간섭성)
다양항 주파수 및 진폭을 가지며, 위상이 일치하지 않는 광파로 태양, 전구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광
(참고)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907
https://rf-yeolmu.tistory.com/14
https://ensxoddl.tistory.com/353
https://blog.naver.com/wlsqor2/40117111555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통신 기초]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1) | 2024.02.27 |
---|---|
Fixed Grid vs Flexible Grid (1) | 2024.02.26 |
광 트랜시버 vs 트랜스폰더 (0) | 2024.02.23 |
[광통신 기초] CD(색 분산)과 PMD(편광모드분산) (0) | 2024.01.08 |